스킬 개발(Workforce Development)의 전문가 양성 [김진실의 스킬즈퓨처](21)
상태바
스킬 개발(Workforce Development)의 전문가 양성 [김진실의 스킬즈퓨처](21)
  • 뉴스앤잡
  • 승인 2025.04.08 07: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능력중심사회를 위해 국가직무능력표준과 직업기초능력개발 및 확산, 직무능력 채용문화 확산 등에 기여했다. 현재 스킬에 대한 관심과 이를 실천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구축하여 기업체, 공공기관, 대학 등에서 강의하며 저서를 집필하고 있다. 현재 '김진실TV' 채널을 유튜브에서 운영하고 있다.
김진실 한국스킬문화연구원 원장
김진실 한국스킬문화연구원 원장

스킬 개발(workforce development)의 질은 “전문가의 질에 달려 있다”라는 말이 있듯이, 국가 스킬 개발(workforce development) 전문가의 양성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디지털전환 시대 도래로 인하여 대내외적으로 인적자원개발 전략 변화, 미래 workforce 자질의 속성 변화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고, 직업능력개발을 위한 교육훈련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스킬 개발(workforce development) 전문가는 국가의 workforce를 체계적으로 육성하는 전문가로서, 스킬 개발(workforce development) 직무를 담당할 전문성을 갖춘 자를 의미한다. 이를 기반으로 스킬 개발(workforce development) 전문가의 개념적 모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스킬 개발(workforce development) 전문가는 스킬 개발(workforce development) 직무를 담당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전문가이다.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체계화된 전문지식, 장기간의 공식적 교육과 훈련, 광범위한 자율성, 엄격한 자격제도, 직업윤리를 갖춘 자로서, 주어진 업무 상황에서 필요한 능력, 자질, 성향, 가치 기술, 행동양식 등의 전문성을 지니고, 이를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자를 의미한다. 스킬 개발 전문가는 스킬 개발(workforcedevelopment) 직무를 담당할 수 있는 교육훈련역량, 연구역량, 행정역량, 컨설팅역량을 갖춘 자로서 체계화된 전문지식, 장기간의 공식적 교육과 훈련, 엄격한 자격제도, 현장경험, 직업윤리와 같은 전문성을 지니고, 이를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자이다.
스킬 개발(workforce development) 전문가의 역할은 무엇이고, 어떠한 역량이 필요한가?
역할이라는 용어는 본래 연극에서 비롯된 것으로, 배우와 그 배역간의 구분을 강조한다. 역할은 개인이 사회에서 차지하는 특정한 위치를 결정하는 수단으로서 사회에서 인정되는 포괄적인 행동 유형이다.
스킬 개발(workforce development) 전문가의 공통적인 역할은 교육훈련가로서의 역할, 연구자로서의 역할, 상담가로서의 역할, 행정가로서의 역할, 컨설턴트로서의 역할이 필요하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교육훈련 역량, 연구역량, 봉사역량, 행정역량 및 컨설팅 역량이 필요하다. 역량이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행동특성으로, 역할을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의 총체라고 볼 수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