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별 인적자원개발위원회(ISC)의 개념 및 필요성 [김진실의 스킬즈퓨처](23)
상태바
산업별 인적자원개발위원회(ISC)의 개념 및 필요성 [김진실의 스킬즈퓨처](23)
  • 뉴스앤잡
  • 승인 2025.05.21 09: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능력중심사회를 위해 국가직무능력표준과 직업기초능력개발 및 확산, 직무능력 채용문화 확산 등에 기여했다. 현재 스킬에 대한 관심과 이를 실천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구축하여 기업체, 공공기관, 대학 등에서 강의하며 저서를 집필하고 있다. 현재 '김진실TV' 채널을 유튜브에서 운영하고 있다.
김진실 한국스킬문화연구원 원장
김진실 한국스킬문화연구원 원장

산업별 인적자원개발위원회((ISC: Industrial Skills Council, 이하 ISC)는 산업별로 협·단체(사업주단체 등), 기업, 근로자단체 등이 모인 산업계 대표로서 해당 산업의 인적자원 관련 의사결정, 현장형 인재 수요파악을 위한 산업인력현황 조사 등을 실시하고, 산업내 직업·직무변화에 따른 수요조사☞그에 따른 기준(NCS, 훈련 및 자격 기준 등)☞교육훈련기업활용☞자격효용성 평가, 품질관리 등)을 통한 산업인력양성 선순환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있다.

ISC는 수요자 중심의 국가 차원의 산업인력양성체계를 구축하는 주체로서, ① 산업계 중심의 교육·훈련·자격·인사관리(채용 등)간의 선순환 시스템 구축, ② 근로자 및 기업 역량 향상을 통한 산업 경쟁력 강화, ③ 수요자 입장에서 정부와 기업 간 허브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특히 직무맵(SQF)→NCS·활용패키지·학습모듈개발→교육훈련기준→자격기준(검정형출제기준·과정평가형 편성기준·일학습병행자격기준→기업직무중심 인사관리 지원→품질관리(실태조사 및 자격의 효용성 평가)→NCS개선의 선순환을 이루는 주체가 바로 ISC다.

특히 ICS의 설립시기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 로드맵 준비기로서 이는 “학벌이 아닌 능력중심 사회 구현” 국정과제를 기반으로 본격적으로 NCS가 개발되는 시기다. 2015년도에 산업계 주도로 현장 중심의 인력양성 체계를 구축하고자 산업별 인적자원개발위원회(ISC)가 설립되었다. 당
시 ISC의 미션은 현장의 수요 발굴·전달을 통한 산업계 주도 인적자원을 개발하고 지원하는 것으로서, 산업계에서는 직업·직무변화에 따른 수요조사, 직무능력 관리, 교육훈련기준제시, 자격체계 혁신, 기업 활용확산, 구직자 정보를 제공하고 매칭을 지원하고, 정책기관에겐 현장 맞춤형 정책발굴을 위한 정보를 전달하며(훈련, 자격 수요 등), 교육훈련기관에겐 산업계 직업(일자리) 및 필요 역량, 수요 변화를 분석하고 전달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