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들어 지난 4월까지 전체 취업자 중 제조업 취업자 비중이 15.5%에 그치며 관련 통계 집계 이래 최저치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20대 제조업 고용 비중(10.6%)도 역대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내수 부진과 미국 관세에 따른 수출 불확실성이 커지며 기업들이 신규 채용문을 걸어 잠근 여파로 풀이된다.
18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과 마이크로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1~4월 제조업 취업자는 월평균 439만5000명으로 전체 취업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5.5%다. 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 기준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13년 이후 가장 낮다. 과거 20%를 웃돌던 제조업 취업자 비중은 2000년대 중반부터 16~17%대를 이어오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인 2023년 15.7%까지 떨어졌다. 지난해(15.6%)에 이어 올해 들어서도 1월 15.8%, 2월 15.6%, 3월 15.4%, 4월 15.2%로 꾸준히 하락세를 이어왔다.
최근 넉 달 연속으로 취업자 수가 10만명대 증가를 이어가고 있지만 제조업 고용은 얼어붙은 상태다. 지난달 취업자는 1년 전보다 19만4000명 늘었지만 제조업 취업자는 12만4000명 줄며 2019년 2월(15만1000명) 이후 6년 2개월 만에 가장 크게 감소했다. 지난 4월까지 제조업 취업자에서 20대(20~29세)가 차지한 비중도 10.6%로 통계 작성 이래 최저치였다. 정년에 진입한 60대(13.2%)보다 더 낮은 수치다.
올해 제조업 고용 시장은 미 관세 향방에 따라 진폭이 커질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지난 3월 이후 철강·알루미늄·자동차(25%)에 대한 품목별 관세가 순차적으로 시행 중인 상황에서 오는 7월 8일 상호 관세(25%) 유예 종료일까지 50일 남짓 남은 상황이다. 최근 한국개발연구원(KDI)은 현재의 품목별 관세 부과와 상호 관세 유예가 유지되는 상황을 전제로 올해 총수출은 전년 대비 0.3% 증가, 취업자 수는 9만명 증가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