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에서 생존력을 높이는 리스크 매니지먼트 [유재천의 직장인 컴피턴시](11)
상태바
직장에서 생존력을 높이는 리스크 매니지먼트 [유재천의 직장인 컴피턴시](11)
  • 뉴스앤잡
  • 승인 2025.02.14 08: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회사는 경영체다. 제품이나 서비스를 생산하고 고객에게 판매하여 이윤을 창출한다. 시장에서 경쟁하고 살아남기 위해 고군분투한다. 생존의 과정이 모두 경영이다. 생존이라는 말은 어느새 경영에서 필수 항목이 되었다. 경쟁이 치열해지고 경쟁의 경계가 허물어지면서 생존은 일상이 되었다.

한편 조직에서 조직 구성원의 생존 역시 일상이 되었다. 초경쟁 시대에 돌입한다는 것은 조직 내 성과 경쟁 역시 가속된다는 의미를 포함한다. 물론 이상적인 조직문화로 과도한 내부 경쟁 없이 효과적인 협업으로 직장생활을 이어가면 좋겠지만 현실은 생각과는 거리가 있다. 직장에서 개인이 자신을 어떻게 경영하느냐에 따라 성과뿐만 아니라 생존까지도 달라진다. 큰 그림으로 자신을 효율적으로 경영하는 것이 필요한데 그 중에서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할 부분은 리스크에 대한 부분이다.
회사 업무는 연차가 늘어날수록 스킬이 생기고 스피드가 빨라진다. 회사는 점점 더 어려운 업무를 부여하고 다양한 역량을 요구하지만 조직 구성원은 충분히 해낸다. 때때로 두렵지만 막상 역할과 책임을 맡으면 또 해낸다. 그러나 위험이 감지되거나 닥쳤을 때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면 직장생활에 어려움이 많이 생긴다. 따라서 업무 처리도 중요하지만 리스크 매니지먼트를 어떻게 할지 관심을 가져야 한다.
리스크가 없을 수는 없다. 직장생활을 이어가며 마주하는 수많은 상황, 위험천만한 경우, 치명적인 위기가 있다. 이때를 어떻게 관리하느냐가 리스크 매니지먼트다. 위기 감수가 아닌 관리를 해야 한다. 관리의 개념이 중요하다. 없을 수 없는 위기라는 상황을 어떻게 준비하고 대처하고 후속 처리할 것인지 생각해봐야 한다. 직장생활에서 리스크 매니지먼트는 어떻게 해야 할까?

먼저 해야 할 첫 번째는 준비다. 직장에서 무언가 실행한다는 것은 일을 한다는 뜻이다. 조직 내 일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성과다. 성과 자체를 높이는 전략과 방법 역시 중요하지만 동시에 리스크 역시 관리해야 한다. 이 때문에 일을 잘하기 위한 준비를 할 때 예상되는 리스크는 없는지 면밀하게 살펴봐야 한다. 심각한 문제가 발생했던 과거의 경험을 떠올려보면 ‘미리 이런 점들을 확인했으면 좋았을 텐데’라며 종종 후회한다. 다시 후회가 반복되지 않게 하려면 점검을 미리 하면 된다. 직장생활의 수많은 경험은 점검 요소를 늘릴 것이다. 어떤 일의 준비 단계에서 사전에 점검해야 할 부분을 대상에 따라 나눠 준비하거나 시간의 흐름이나 동선에 맞춰 생각해보는 것이다. 사소한 준비가 큰 위험을 막을 수 있다.
둘째, 지난 업무를 리뷰(Review)하며 위험 요인을 발굴해야 한다. 심각한 문제는 사소한 위험 요인으로부터 시작된다. 업무를 처리하는 과정에는 많은 이해관계자가 연결되기 때문에 사소하지만 치명적인 리스크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업무 처리 후에는 여러 관계와 상황적인 측면에서 돌아보며 리스크가 없었는지, 다음에 어떻게 보완하면 좋을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셋째, 변화 관리를 해야 한다. 기업 경영에서 불확실성이 증대되듯이 조직 내 개인 경영에서도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불확실성을 불안감과 두려움으로만 바라볼 것이 아니라 변화로 바라보고 변화에 대응할 고민을 해야 한다. 누가 대신해주지 않는다. 조직이 개인을 배려하기는 어렵다. 스스로 준비해야 한다. 직장생활에서 지치고 힘들 때는 조절하며 잠시 쉬어갈 필요가 있지만 변화 관리에 대한 끈은 놓지 않아야 한다. 변하는 조직 내외부 상황에 따라 개인은 어떤 내부 자원을 활용해야 하고 어떤 신성장동력을 발굴해야 하는지 생각해보는 것이 시작이다. 개인을 다른 개인이 이끌어주는 조직 내 인맥의 끈은 끊어질 수 있다. 그러나 스스로가 연결한 변화 관리의 끈은 의지만 있다면 쉽게 끊기지 않는다.
그런 것까지 해야 하느냐며 도피하는 두려움과 망설이는 귀찮음을 옆에 내려놓고 작은 생각을 행동으로 연결해보자. 작은 생각이 관점을 바꿀 수 있다. 생각보다 효과적인 전략이 되고 방법이 되며 준비가 된다. 직장인의 리스크 매니지먼트를 위한 세 가지 전략은 그렇게 시작된다. 작은 시작이 현재와 미래에 자신의 생존력을 높일 것이다.


나에게 다시 던지는 셀프코칭(self-coaching) 질문
■현재 내가 갖고 있는 리스크는 무엇인가?
■지금 다시 점검해야 할 것들은 무엇인가?
■앞으로 관리가 필요한 리스크 영역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