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제노동기구(ILO, 2023)에서, GPT 점수의 평균점수와 과업별 점수들의 표준편차에 따라 인공지능이 직업에 미치는 영향을 유형화하는 기준을 제시했다.
- (보완 잠재력) 직업 내 일부 과업들만 GPT 관련성이 높고 다른 과업들의 GPT 관련성이 낮은 경우
- (대체 잠재력) 직업 내 여러 과업들이 모두 비슷하게 GPT와 관련성이 높은 경우
한국의 노동시장에 위의 기준을 적용하면, 보완 가능한 일자리가 대체가능한 일자리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난다.
- 보완 가능한 일자리는 454만여 개로, 전체의 16.0%에 해당(남자 8.7%p, 여자 7.3%p)
- 대체 가능한 일자리는 277만여 개로, 전체의 9.8%에 해당(남자 4.1%p, 여자 5.7%p)
저작권자 © 뉴스앤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