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채용트렌드에 ‘조직문화 적합성’ 2년 연속 1위 꼽혀 인성, 협력, 책임감 검증 강화
상태바
2025 채용트렌드에 ‘조직문화 적합성’ 2년 연속 1위 꼽혀 인성, 협력, 책임감 검증 강화
  • 권수연 기자
  • 승인 2024.12.03 16: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바른채용인증원, 채용전문면접관이 꼽은 채용트렌드 발표

채용전문면접관이 꼽은 2025년 채용트렌드에 조직문화 적합성(culture fit)이 지난해에 이어 또다시 1위에 선정되었다.

채용인증기관 한국바른채용인증원(원장 조지용)이 채용전문면접관 2급이상 자격을 취득한 전문가 409명을 대상으로 지난 11월 26일부터 12월1일까지 실시한 설문조사(복수응답 포함) 결과다.

‘조직문화 적합성’을 2025년도 채용트렌드로 꼽은 면접관은 77%(복수응답 포함)였다. 뒤이어 ▲직무중심 채용(60%) ▲면접관 역량 강화(43%) ▲경력중심 수시채용(42%) ▲채용시장 양극화(좋은회사 쏠림)(39%) ▲AI일자리 대체(인력감축)(35%) ▲공정 채용 강화(채용 감사, 리스크 관리)(34%) ▲정년 연장(고령화 재취업)(32%) ▲채용 다각화(방법, 경로, 형태) ▲온보딩(채용 후 정착 및 유지)(28%) ▲채용 브랜딩(채용경험, 지원자 케어)(23%)이 뒤를 이었다.

‘직무중심채용’은 지난해 3위에서 2위로, ‘면접관의 역량 강화’는 2위에서 3위로 자리가 바뀌었고, ‘경력중심 수시채용’이 8위에서 4위로 올랐다.

올해 새롭게 부상한 트렌드로 ‘채용시장의 양극화’가 5위에 올라 좋은 회사로 인재가 몰리는 현상을 뒷받침 했으며, AI의 일자리 대체(인력감축)가 6위, 정년 연장(고령화 재취업)이 8위, 채용 다각화(방법, 경로, 형태)가 9위에 올랐다.

그 외에도 ▲챗GPT 활용 자소서 면접(22%) ▲면접 도구 강화(발표, 토의)(22%) ▲AI 면접평가(대면, 서류)강화(19%) ▲Gig worker(계약직, 단기용역)확대(18%) ▲청년인턴(일, 직무 경험) 증대(16%) 등이 뒤를 이었다.

2020년부터 매년 채용트렌드 설문조사를 주관해온 조지용 인증원장은 “전반적으로 2025년 채용 시장은 인력감축, 채용규모 축소 기조이며, 필요시 경력·수시채용 중심으로 인력 수급이 이루어질 것이다. MZ세대의 조기 이직을 경험한 기업들은 채용단계에서 조직문화 적합성(Culture fit) 검증을 위해 면접에서 직무 경험 외에 인성, 협력, 책임감 등을 평가 한다.”고 밝혔다. 이어 “반대로 구직을 앞둔 청년의 입장에서는 직무 관련 교육이나 자격 취득 외에 인성, 협력, 책임감 등의 역량을 키우는 것이 중요해졌다.”고 설명했다.

‘2025년 채용트렌드 및 국내·외 베스트 사례’는 한국바른채용인증원과 재단법인 청년재단이 공동주관하는 ‘제6회 대한민국 바른채용 컨퍼런스’를 통해 2025년 2월 27일 공개될 예정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