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브리드 채용 방식의 대표주자 = AI면접
코로나19는 우리 사회의 많은 부분을 바꾸어놓았다. 채용시장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다. 오히려 채용시장은 코로나19 이전과 이후로 나뉜다고 볼 수 있을 정도로 그 변화가 뚜렷하다. 그 변화 중 눈여겨볼만한 것이 바로 하이브리드 채용의 증가이다.
하이브리드 채용은 채용과정에 있어서 대면과 비대면 과정을 모두 이용하는 것을 말한다. 예컨대 1차면접은 대면으로 진행하고, 2차면접은 온라인 비대면 면접으로 진행하는 방식이다.
하이브리드 채용의 유행은 코로나19가 잠잠해진 이후에도 변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기업과 구직자 모두 하이브리드 채용의 효용에 대해 공감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하이브리드 채용이 어떠한 매력을 지니고 있는지 알아보자.

하이브리드 채용, 왜 하는가?
많은 기업들이 하이브리드 채용과정을 운영중에 있다. 코로나19 이후에 이를 유지할 계획을 가진 곳이 대다수이다.
하이브리드 채용의 가장 큰 장점은 시간과 비용의 절약이다. 면접자는 시간을 들여 면접장에 직접 가지 않아도 면접을 볼 수 있으며, 기업도 큰 비용이 들지 않는다. 또한 온라인 생활에 익숙한 MZ세대와의 원활한 소통을 시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기업의 메리트이다.
하지만 비대면 면접만으로는 면접자의 세세한 특성에 대해 제대로 된 판단을 하기 어려울 수 있고, 면접자 또한 비대면 면접으로만은 기업의 내부 분위기 등 기업에 대한 심층적인 정보는 얻기 어렵다. 때문에 대면과 비대면 면접을 병행하여 두 방식의 장점을 동시에 추구하고자 하이브리드 채용을 계속해서 시도하는 것이다.
한국남부발전, BGF리테일, 롯데그룹 이외에도 다수의 기업이 하이브리드 채용을 실시하고 있다.

하이브리드 채용에 대비하기
비대면 면접이라고 해서 마냥 편안한 마음으로 임하는 것은 좋지 못하다. 비대면 면접에서도 대면 면접과 같이 단정한 용모를 갖추고, 면접 예상질문들을 메모해두어 철저하게 준비해야 한다.
하이브리드 채용 방식으로 자주 언급되는 것이 바로 AI면접이다. AI프로그램을 통해 면접자의 성향과 직무적합성을 판단하는 것이다.
서울산업진흥원, 한국가스공사, 한국자산관리공사 등 다수의 공기업에서 AI면접을 도입하였으며, 사기업에서도 AI면접의 도입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AI면접은 1차 평가는 AI가 실시하고, AI의 평가점수를 통해 면접관이 최종 판단을 하는 형식으로 주로 진행된다. 이때 면접자 답변의 일관성, 표정, 어조 등 세세한 부분 또한 평가 항목에 포함되니 이를 주의해야 한다.
아직까지는 AI면접이 채용시장 전반에 걸쳐 보편적으로 이용되는 방법은 아니다. 따라서 취업준비를 하며 AI면접까지 대비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AI가 객관적인 평가를 내어놓는지에 대한 신뢰성의 문제도 제기되고 있다.
AI면접에 대해 더 많은 정보를 얻고 싶다면 <워크넷, 서울시 AI면접체험 프로그램, 잡아바, 꿈날개> 등에서 AI 면접 체험과 컨설팅 결과를 받아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