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대졸신입, 수시채용이 공채 '첫 역전'
상태바
하반기 대졸신입, 수시채용이 공채 '첫 역전'
  • 이용준 기자
  • 승인 2020.08.24 13: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올 하반기 상장사 대졸신입 공채계획이 크게 줄고, 반대로 수시채용 계획이 앞서며 첫 역전했다. 기업들은 그 이유로 경기침체에 코로나 악재까지 맞아 대규모 신입 채용을 할 여건이 안 된다고 입을 모았다. 취업포털 인크루트가 530곳의 상장사를 대상으로 ‘2020년 하반기 대졸 신입사원 채용방식’을 조사한 결과다.

먼저 하반기에 △‘대졸 신입 사원을 뽑겠다’고 확정한 상장사는 57.2%이다. 지난해 66.8%에 비해 9.6%p 줄었다. 반대로 △‘대졸 신입을 뽑지 않겠다’고 밝힌 기업은 14.2%(지난해 11.2%), 아직 채용 여부를 확정 짓지 못한 △‘채용 미정’ 비율은 28.6%(지난해 22.0%)로 각각 집계됐다. 전년대비 신입채용 기업은 크게 줄고, 채용하지 않거나 불확실한 기업은 소폭 늘어난 것이다.

채용방식 역시 큰 변화가 확인됐다. 하반기 △‘공개채용’을 통해 신입사원을 뽑겠다는 기업은 39.6%로 작년 49.6%에 비해 10.0%p 줄어들었다. 반면 △‘수시채용’ 계획은 지난해 30.7% 대비 올 하반기 41.4%로 10.7%p 늘었다. 공채보다 수시채용 계획이 1.8%p 높게 집계된 것으로, 신입사원 수시모집 비율이 공채비율을 제치고 첫 역전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공채비율을 줄이는 이유로는 △‘공채보다 수시충원 채용이 효율적이라고 판단(34.8%)’했다는 응답이 많았고, △‘경영환경 변화로 신입보다 경력직을 우선선발(32.8%)하고 있다는 신입 구직자들에게는 반갑지 않은 이유도 드러났다.

대규모 인원선발의 창구인 대기업 공채계획은 3년 연속 감소했다. 하반기를 기준으로 2018년 67.6%에 달했던 대기업의 신입 공채계획이 지난해 56.4%, 그리고 올해 54.5%로 3년간 13.1%p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 수시채용은 반대 양상을 보였다. 2018년 11.8%에 그쳤던 대기업 신입 수시채용 계획이 지난해 24.5%로 두 배 이상 늘더니 올해는 29.5%를 기록했다. 이로써 올 하반기 대기업 공채비율은 54.5%, 수시비율은 29.5%로 각각 집계됐다.

실제 상반기 대졸신입 공채를 모집한 대기업은 10대 그룹기준 삼성, 롯데, SK, 포스코, CJ 등 절반이었다. 반대로 지난해 현대자동차 그룹에 이어 올해 KT, LG는 대졸 공채를 폐지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