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어떤 권력을 활용하는 관리자인가? [박준우의 인재경영](3)
상태바
당신은 어떤 권력을 활용하는 관리자인가? [박준우의 인재경영](3)
  • 뉴스앤잡
  • 승인 2023.04.07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괸리자가 가진 권력
- 합법적 권력, 보상적 권력, 전문적 권력, 준거적 권력, 강압적 권력

관리자들이 조직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다양하다. 그 중 하나는 관리자의 권한에 대해 잘못 이해하거나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것도 있다. 관리자가 가진 권한이 다양하고 강력함에도 불구하고 많은 관리자들은 요즘 직원들의 자신이 납득할 수 없는 일은 거부하고 상사의 지시를 따르지 않거나, 자신들의 개성을 존중해 달라며 회사의 규칙을 무시한 채 비상식적이고 제멋대로 행동한다고 한다. 심할 경우에는 상사라는 이유로 명령하는 것을 직장 내 괴롭힘이라는 그럴듯한 반론을 제기하기도 하고, SNS에 회사의 내부 정보를 올려서 문제를 일으키는 등 황당하고 거침없고 당당한 요구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몰라 곤란해하고 있다.

 

관리자들은 자신들이 얼마나 막강한 권한을 가지고 있는지 알지 못한다. 업무에 대한 분장권, 조정권, 협조권을 비롯하여 업무 지시권, 보고 등 피드백 권한, 그리고 평가권에 이르기까지. 게다가 인사상 각종 상신권(포상, 징계, 승진 등)과 근태관리권, 예산 편성권과 배분권, 변경권, 심지어 회식 일시 및 장소 결정권에 점심 시 식당 선택권까지 관리자의 권한은 일일이 열거할 수 없을 정도로 많다. 이러한 막강 권한을 가지고도 부하직원들 특히 MZ세대들의 눈치만 보는 관리자들은 자신들의 권한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관리자가 가진 근본적인 권력(Power)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고 할 것이다.

 

괸리자가 가진 권력은 합법적 권력, 보상적 권력, 전문적 권력, 준거적 권력, 강압적 권력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번째 합법적 권력은 공식적 지위에 기반을 두는 권력으로 법규, 제도, 공식적 규칙에 의해 선출되거나 임명된 리더가 행사하는 권력으로 정부나 기업 등의 공식조직이나 집단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볼 수 있는 권력 유형이다. 즉, 위계적 조직에서 부사장은 부장보다 더 많은 권력을 지니며 부장은 일반 사원보다 더 많은 권력을 지니며, 합법적 권력은 조직의 규정에 의거특정인이 지시나 명령을 할 수 있는 권리를 지녔다고 수용자가 인식 또는 인정할 때 발생한다.

합법적 권력은 수용자로 하여금 지시나 명령에 순응하도록 만들 수 있지만, 수용자의 높은 만족이나 헌신을 끌어내기에는 한계가 있다.

 

두 번째 보상적 권력은 행사자가 수용자가 원하는 보상을 제공할 수 있는 능력에 기반을 두는 권력으로 다른 사람이 가치 있게 여기는 보상을 통제할 수 있는 사람이 행사하는 권력이다. 일반적으로 승진, 임금인상, 칭찬, 책임 부여 등은 직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보상적 권력 행사의 예다. 이러한 보상적 권력의 효과성은 보상으로 연결되는 성과나 행동을 수용자가 명확히 인식하고 있으며 성과와 보상 간의 연계성이 보장될 때 높아진다.

주의할 점은 개인마다 원하는 보상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보상적 권력을 행사하고자 한다면 직원이 가치 있게 여기는 보상을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업무상 책임의 증가는 직원에 따라 달리 받아들여질 수 있어 책임 부여를 원하는 직원에게는 보상이 되지만 그것을 꺼리는 직원에게는 효과적이지 않다.

 

세 번째 전문적 권력은 권력 행사자가 가진 전문 기술이나 지식, 경험에 기반을 두는 권력으로 특정 분야에 대한 전문성이나 특정 상황에 대한 해결책을 알고 있는 사람은 그것을 필요로 하는 사람에 대한 권력을 갖게 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조직에서 지위나 높은 관리자여도 최신 컴퓨터 프로그램과 같은 특정 분야에 대해서는 부하직원보다 지식이나 경험이 부족할 수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관리자가 알고 싶어 하는 최신 기술에 대한 지식을 보유한 부하직원이 전문적 권력을 행사할 수 있다.

 

네 번째 준거적 권력은 다른 사람이 특정인에 대해 가지는 신뢰나 존경, 매력에 기반을 두는 권력으로 조직 내 여러 관리자 중 부하직원들로부터 존경을 받는 상사가 갖게 되는 권력이다.

일반적으로 다른 사람에 대한 칭찬이나 친화적 태도, 호의 제공 등은 준거적 권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이다.

 

마지막 다섯 번째 강압적 권력은 행사자가 수용자에게 감봉, 강등, 해고 등의 위협을 가함으로써 두려움을 유발함으로써 행사하는 권력이다. 행사자의 요구에 순응하지 않을 경우 처벌 등의 부정적 결과가 발생될 거라는 두려움에 기초한 권력이다. 강압적 권력의 행사자는 수용자로 하여금 자신이 원하는 것을 강제적으로 하게 만들며 경우에 따라 물리적 또는 언어적 위협을 이용하기도 한다.

감봉, 강등, 해고 등은 직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강압적 권력 행사의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것이다. 강압적 권력은 일반적으로 수용자의 분노나 적대감을 유발하고 조직의 장기적 발전을 저해하기 때문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공정한 기준에 따라 행사되어야 한다.

 

관리자들은 상황에 따라 관리대상에 따라 적절한 권력을 활용해야 한다. 무조건 강압적인 방법을 사용하거나 관리자의 권위라는 이름으로 합법적인 권력에만 한정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보상을 남발하는 것도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그 권한을 남용하지는 말아야 한다.

과유불급이라는 말처럼 남용은 더 큰 문제를 불러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내가 지금까지 어떤 권력에 의존해 왔는지 그 권력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도움이 되었는지 생각해볼 시간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