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분석의 방법, 카테고리를 확보하라 [유재천의 취준생 컴피턴시](24)
상태바
직무 분석의 방법, 카테고리를 확보하라 [유재천의 취준생 컴피턴시](24)
  • 뉴스앤잡
  • 승인 2022.10.28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직무 분석을 통해서 카테고리를 확보해야 한다. 직무 분석에도 기본에 집중하는 것이 우선이다.

회사의 홈페이지에서 채용에 관한 내용을 살펴보면 직무 소개가 있다. 취업 준비 전략으로 산업, 기업, 직무의 우선순위를 정했다면, 원하는 직무에 대한 기본 분석을 위해 기업 홈페이지의 직무 소개를 분석해야 한다.

특히 계열사가 많은 대기업이 정리를 잘해놓았다. 텍스트로 인터뷰를 한 내용도 있고 영상 인터뷰 자료도 있다. 따라서 자신이 원하는 직무에 대해 해당 산업의 여러 기업에서 소개한 직무의 내용을 살펴봐야 한다.

하지만 경험이 없기 때문에 한 번 보고 확실히 이해하는 건 당연히 어렵다. 여러 번 읽고 노트에 적어 가면서 이해도를 높여야 한다. 홈페이지 직무 소개에서 중점적으로 살펴볼 부분은 주요 업무, 하루 일과, 필요한 역량이다. 이런 부분을 중심으로 분석하되 주요 키워드를 함께 정리해야 한다. 특히 압축적으로 표현된 홈페이지의 직무 소개에서 ‘무엇을 위한’이라고 표현된 ‘목적’을 찾아야 한다.

목적 외에도 매우 중요한 이유인 ‘왜Why’를 잘 찾아야 한다. 이러한 ‘목적’과 ‘왜’를 활용하여 자기소개서나 면접에서 상대방을 설득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 아직 해당 직무를 해보진 않았지만 ‘하는 일’을 더 잘할 수 있는 ‘어떻게how’를 고민해보는 것도 홈페이지 직무 분석에서 중요하다.

직무에 대한 이해도를 문제 형태로 시험을 보는 기업은 드물다. 물론 전공이나 직무 시험이 있다면 별도의 준비를 해야 하고, 그렇지 않다면 ‘직무 이해도’와 ‘직무 준비도’ 측면으로 준비해야 한다. 기업이 두 가지를 평가하기 위해서 관련 질문을 하기 때문에 직무 이해도와 직무 준비도에 집중해야 한다. 즉 직무 분석을 할 때 가장 중요한 점은 어떤 카테고리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정리할 것인지 파악하는 것이다.

직무 질문은 자소서와 면접에서 100% 나온다. 따라서 카테고리 중심으로 정리하고 표현하는 연습을 미리 해야 제대로 표현할 수 있다. 기본적인 직무 분석의 카테고리는 직무 기초 지식, 직무 요구 역량, 직무 관련 교육이다. 회사에서 요구하는 ‘직무기초지식’이라는 어휘는 취준생 입장에서 보면 전공이다.

다음 ‘직무 요구 역량’은 직무에서 매우 중요한 카테고리다. 왜냐하면 결국 기업은 직무에 필요한 역량을 갖췄는지, 갖추려고 노력했는지, 잠재력과 가능성이 있는지를 평가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직무 관련 교육’을 받았는지를 통해 추가적인 노력이나 관심도, 준비도를 평가한다.

이를테면 반도체 회사나 반도체 장비 업체에서는 반도체 공정 관련 교육 이수를 중요하게 본다. 이외에도 직무와 관련된 기술, 기술 경쟁력, 품질 경쟁력, 제품, 브랜드 가치, 마케팅 강점, 직무에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 등의 카테고리가 있다.

카테고리는 정답이 있는 것이 아니라 상대 입장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개념의 묶음이다. 따라서 분석하는 과정에서 직무 관련된 정보를 개념으로 묶어본다면, 상대가 관심을 갖고 있는 카테고리가 될 수 있다. 카테고리 중심으로 정리하고 묶어서 표현해야 상대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들을 정리해서 구조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것이 우리가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에서 생각해야 할 분석의 목적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