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의 재능을 따라가면 성공은 뒤따라 올 것이다 [신의수의 진로이음](23)
상태바
너의 재능을 따라가면 성공은 뒤따라 올 것이다 [신의수의 진로이음](23)
  • 뉴스앤잡
  • 승인 2022.10.19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체탄 바갓(Chetan Bhagat)의 소설 "Five Point Someone – What not to do at IIT‘을 원작으로 2009년 제작된 인도 영화 ‘세 얼간이’는 인도 발리우드 불후의 걸작이다. ‘내가 진정 하고 싶은 것은 무엇인가?’, ‘나는 무엇을 위해 지금까지 공부해왔고, 앞으로는 무엇을 위해 공부해야 하는가?’ 수많은 진로분기점에서 늘 하는 고민에 대하여 영화에서는 이렇게 말을 한다.

“너의 재능을 따라가란 말이야. 마이클 잭슨 아버지가 아들보고 복서가 되라고 했다면, 무하마드 알리 아버지가 아들보고 가수가 되라고 했다면 어땠을까? 재앙이지” “너의 재능을 따라가면 성공은 뒤따라올 것이다.”

진로에 대한 고민을 할 때 많이 듣는 것 말 중 하나가 ‘잘하고 좋아하는 일을 하라’는 것이다. 여기서 ‘잘한다’는 의미가 재능인 것이다.

영화에서 이야기하는 재능이란 무엇인가?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재능(才能, talent)이란 ‘본디부터 가지고 있는 성질 또는 타고난 능력이나 기질’을 의미한다. 그밖에도 재능은 ‘특별히 배우지 않아도 무언가를 특별히 잘해내는 능력(Cambridge dictionary)’, ‘타고난 능력 또는 기술(Oxford dictionary)’, ‘누군가 어떤 일을 잘 할 수 있도록 천부적으로 부여된 특별한 능력(Merriam-Webster)’이라 정의하고 있다.

Galton과 Welch & Byrne과 같은 학자들은 재능은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것이며 후천적으로 습득 할 수 없다는 천부론(nature perspective)을 주장한다. 19세기 영국시인 드라이든(Dryden)은 ‘천재는 그 자체로 태어날 뿐, 배워서 될 수 없다(Genius must be born, and never can be taught)’고 읊었다.

왓슨과 에릭슨(Watson & Ericsson)은 재능은 유전적 요인과 무관하며 후천적 노력만이 그 수준을 결정한다는 습득론(nurture perspective)을 이야기한다. 누구라도 본인의 노력과 체계적 교육훈련(deliberate exercise) 기회가 주어진다면 특정 분야에서 전문성을 발휘하며 활동하기 위해 필요한 능력을 충분히 습득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성과에서 나타나는 개인차는 타고난 재능과는 무관하며, 오로지 각 개인에게 주어진 학습기회와 지속적인 개인 노력의 질과 양만이 실질적 성과를 가져온다고 설명한다.

미국의 교육심리학자 가네(Gagné)와 같은 학자들은 기본적으로 위 두 관점을 모두 채택하는 양시론을 주장한다. 사람들은 재능을 타고 나지만 그 자체는 잠재되어 있으며, 학습을 통해 개발되어야 성과를 실현할 수 있는 능력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인적자원의 잠재역량을 강조하였다.

뉴욕타임즈 베스트셀러 작가이자 전국 텔레비전 방송 및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 진행자, 성공한 사업가이면서 존경받는 박애주의자인 스티브 하비(Steve Harvey)는 ‘내 재능 사용법’이라는 책을 통해 자신의 성공 원리를 다음과 같이 밝혔다.

“사람들은 저마다 문제 해결 능력이라든지, 인맥을 형성하는 능력, 아름다움을 창조하는 손재주 같은 능력 등과 같은 타고난 재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타고난 재능은 결코 사라지지 않습니다. 여러분이 할 일은 오직 자신의 재능을 활용하고, 개발하여, 적합한 일과 연결하는 것뿐입니다.”라 말했다.

자신의 재능을 찾아 일을 하는 사람들은 탁월한 성과를 낼 뿐만 아니라 행복하게 산다. 사람들의 남다른 재능은 사회 전체의 잠재적인 이익이 되고 개인의 행복을 찾게 해준다. 이것은 개인이 자신의 재능을 발견하고 시간을 어떻게 활용하며 심리적 에너지를 어떻게 투자하는지와 관련이 있다.

또한 부모가 얼마만큼 재능의 계발을 가치 있게 여기는지, 얼마만큼 감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는지도 좌우할 수 있다. 학교도 마찬가지로 학생들의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데, 특정 분야에서 좋은 성과를 낸 사람들은 학창시절 그들의 스승이 제자의 재능을 발견하고 관심을 불러일으켰기 때문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