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분석의 카테고리 [유재천의 취준생 컴피턴시](19)
상태바
산업분석의 카테고리 [유재천의 취준생 컴피턴시](19)
  • 뉴스앤잡
  • 승인 2022.08.19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산업분석의 카테고리를 확인해 보자!

 

검색

‘검색’하면 기본적으로 포털사이트 검색이 떠오를 것이다. 네이버나 다음에서 검색하는 방법은 기본 중 기본이다. 그런데 여기에서 키워드를 무엇으로 할 것인지가 관건이다.

앞에서 추천한 방법을 통해 중요한 키워드를 잘 수집해두어야 한다. 포털사이트에는 너무 많은 광고성 글로 인해서 검색이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검색 분류를 잘 설정하면 되는데, 가능한 한 ‘뉴스’ 중심으로 분류해서 보면 좋다. 또한 뉴스의 하위 분류에서 ‘일간지’ 중심으로 설정하면 편리하다.

요즘 워낙 인터넷 언론사가 많아서 모두 보기에는 정보의 양이 너무 많다. 일간지만 살펴 본다면 좀 더 효과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 대표적인 포털사이트 외에도 ‘구글링’을 하는 방법도 병행하는 것이 좋다. 검색 엔진의 구동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더 다양하고 핵심적인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구글에서 적절한 키워드로 검색해서 여러 페이지를 차근차근 살펴보자.

 

협회나 학회 사이트

주요 산업 분야에는 협회나 학회가 있다. 이러한 곳의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해당 산업 분야의 중요한 이슈나 최신 정보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각 산업 분야에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고, 긴급하게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중심으로 참고하기에 적절한 정보가 잘 정리되어 있으니 꼭 살펴보자.

 

전자공시시스템DART

전자공시시스템은 금융감독원이 권고한 공시 서류를 상장법인이 인터넷으로 제출하고, 누구나 조회할 수 있도록 만든 기업 공시 시스템이다. 여기에서 기업명을 입력하고 조회하면 여러가지 리포트를 확인할 수 있는데, 이 가운데 산업 분석과 관련해서 살펴볼 부분은 가장 최근 ‘분기보고서’의 ‘사업의 내용’이다. 산업의 특성, 산업의 성장성, 경기 변동의 특성, 경쟁 요소, 자원 조달상의 특성, 관련 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회사의 현황 등 회사 입장에서 매우 중요한 산업 카테고리를 목차로 구성해서 정리한 내용이다.

한 가지 주의할 점은 지난 분기의 보고서이므로 현재 시점에서 필요한 부분은 기사나 홈페이지 등을 통해서 정보를 업데이트해야 한다는 점이다. 물론 처음 본다면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도 많다. 따라서 처음부터 눈으로만 보지 말고 천천히 카테고리별로 기록하며 정리하는 방법을 추천한다. 전자공시시스템과 유사하게 중소기업의 정보를 제공하는 곳으로는 대한상공회의소(www.korcham.net)가 있다.

 

한경컨센서스

추가로 한경컨센서스(consensus.hankyung.com)에서 제공하는 리포트를 추천한다. 기업 리포트, 산업 리포트, 시장 리포트 등 다양한 자료가 제공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