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인사관리와 NCS [김진실의 NCS카페](60)
상태바
기업의 인사관리와 NCS [김진실의 NCS카페](60)
  • 뉴스앤잡
  • 승인 2022.02.09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업의 인사관리 관련 최근 정부의 정책 기조를 살펴보면, 기업단위 직급체계 정비 및 직급별 직무명확화를 통해 직무 중심의 임금체계로의 전환을 추진하는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HR과 관련해서는 4차 산업혁명 및 본격적인 디지털 전환(DT : Digital Transformation) 등의 거시적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 국내 산업의 체질 개선을 도모하고 있다. DT는 디지털 기술을 적용하여 조직 내 근본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것이다. 현재 기업들은 디지털과 물리적인 요소를 통합하여 비즈니스 모델을 변화하고, 산업 전반의 새로운 방향을 정립할 시점이다.

이를 위해 기업의 인사관리 관점에서 직무조사를 실시해야 한다. 직무조사는 기존 단위 및 제도 운영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조직 관점에서 조직설계 및 인력계획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조직의 성과 창출을 위해서는 직무분석을 통해 직무를 명확히 하여 직무책임, 성과목표를 정의한 뒤, 해당 직무를 잘 수행하기 위한 역량을 구명할 필요가 있다. 이 시점에서 NCS의 활용가능성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NCS는 직무분석과 역량모델링에 활용될 수 있는데, 직무분석은 조직에 의해서 수행되는 관리적 활동으로 조직계획 및 설계, 인적자원관리, 기타 관리적 기능의 기초가 되는 직무에 대한 정보를 수집, 분석, 통합하는 과업이다. 

반면, 역량모델링은 해당 조직 내에서 업무를 탁월하게 잘 수행하고 있는 사람이 발휘하고 있는 모든 행동 특성(behavioral characteristics)을 도출하는 과정을 말한다. 해당 기업의 직무크기, 내용 등을 고려하여 직무별 책무, 작업도출시 NCS의 세분류, 능력단위와 연계할 수 있으며, NCS의 능력단위요소 수행준거를 활용하여 실제 기업의 작업요소로도 활용가능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