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수도권전문대학교취업지원협의회 하계 연수' 성료
상태바
'2021년 수도권전문대학교취업지원협의회 하계 연수' 성료
  • 홍예원 기자
  • 승인 2021.07.12 11: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 강원) 전문대학교 취업담당자를 대상으로 '2021년 수도권전문대학교취업지원협의회 하계 연수'를 진행했다.

수도권전문대학교취업지원협의회가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 강원) 전문대학교 취업담당자를 대상으로 회원대학간의 취업업무에 대한 상호협력 증진과 다변화하는 취업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소통의 장을 마련하고자 지난 7일(수)부터 9일(금)까지 오션스위츠 제주호텔에서 2박 3일간 '2021년 수도권전문대학교취업지원협의회 하계 연수'를 진행했다.

장성은 수도권전문대학교취업지원협의회 회장은 환영사에서 "전문대학 발전을 위한 취업 관련 정책을 발굴하고, 교육부, 고용노동부, 한국교육개발원 등 국가 취업 관련 정책에 의견 반영을 위해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권역별 분임토의를 진행하여 각 전문대학의 취업 프로그램에 대해서 논의했다.

이후 교육부 산학협력일자리정책과의 <수도권 전문대학교 취업지원협의회 정책 소개>를 시작으로, 고용노동부의 <정부 주요 청년고용정책과 2021년 대학일자리(+)센터 사업방향>, 한국교육개발원의 <2021년 취업통계조사 주요 추진 사항>에 대한 설명이 진행됐다.

교육부 산학협력일자리정책과는 정부의 주요 정책 방향에 대해 소개하며 대학생 진로 취업 지원 주요 과제로 '전문대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중소기업 취업연계 장학금', '디지털 신기술 인재양성 혁신공유대학' 등을 제시했다.

고용노동부는 대학일자리센터의 성과와 한계를 소개하며 성과점으로는 '진로 취업 관련 상담 및 프로그램 참여자 증가', '효과적인 청년정책 전달체계' 등을 들었고, 한계로는 '취업지원 서비스 위주로 인한 일자리 매칭 등 미흡'과 '안정적인 취업 준비를 위한 심리상담 등 제공 부족' 등을 들었다. 이로 인한 대학일자리센터 추진 방안으로는 '서비스 대상 확대', '직접적 취업지원 서비스 강화' 등을 제시했다.

둘째날에는 권역별 지부장들이 참석하는 권역별 분임토의, <대학별 우수사례프로그램 소개>와 아이비김영, 메가스터디아카데미, 인앤잡, 대학연합자격인증원 등 기업 설명회가 이어졌으며, 마지막 날에는 권역별 분임토의 발표 및 총회를 끝으로 모든 일정이 마무리 됐다.

수도권전문대학교취업지원협의회 워크숍에서 취업담당자의 전문화된 취업역량을 강화하고, 각 대학의 우수취업사례를 공유했다.

수도권전문대학교취업지원협의회 관계자는 "협의회에서는 취업담당자의 전문화된 취업역량을 강화하고, 각 대학의 우수취업사례를 공유해 정부의 취업 정책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시켜 취업률 현황 등을 조사 분석하고 있다. 이번 연수에서도 취업담당자가 취업 현장에서 학생 지도에 필요한 실무를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취업담당자의 역량강화에 집중했다"라고 밝혔다.

한편, 수도권전문대학교취업지원협의회 회원 대학으로는 ▲서울경인지부(15개 대학) ▲경기동북지부(14개 대학) ▲경기서남지부(15개 대학) ▲강원지부(7개 대학) 등 총 51개 대학이 속해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